•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6 vs r7
1 1
[include(틀:나무위키에서 가져옴, article=팽구penggu/논란 및 사건사고, rev=42)]
2 2
3 3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팽구penggu)]
4 4
[include(틀:사건사고)]
5 5
6 6
[목차]
7 7
== 개요 ==
8 8
대한민국의 유튜버 [[팽구penggu]]에 대한 논란과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다.
9 9
10 10
== 논란 ==
11 11
=== 컨텐츠/썸네일 표절 ===
12 12
외국 유튜버들의 영상을 다수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다.[*예시 한칸 블럭 생존기, ㅇㅇ으로 마크 깨기, 난이도: ㅇㅇ등 대부분의 영상이 따라했다. 썸네일의 구도, 위치, 화면, UI등도 따라했다.] 이렇게 되면 심하게는 법정분쟁까지 갈 수도 있다.
13 13
다만 썸네일 자체는 그대로 쓴것도 아니고 비슷하게만 했기 때문에 저작권 침해라고 볼 수 없다.
14 14
[[파일:펭구논란V3.png]]
15 15
16 16
=== 얼굴 공개 논란 ===
17 17
전에 10만원을 받으면 얼공을 하겠다고 발언을 하여, 한 시청자가 10만원을 후원했다.
18 18
팽구는 당황하며 얼공을 원하냐고 물었는데 후원자가 얼공을 원하지 않았다.
19 19
그 뒤로 다른 시청자가 10만원을 "얼공 가자!"라는 메세지로 보냈다. 팽구는 또 한번 얼공을 원하냐고 물었는데, 또 타협을 하였는지 얼공을 하지 않았다.
20 20
댓글창엔 장난식의 댓글도 있었고 진지하게 얼공을 왜 하지 않았냐는 댓글도 있었지만
21 21
지금은 후원자들에게 비공개로 얼공을 해서 얼공 사건은 마무리가 되었다.
22 22
23 23
=== 주작 논란 ===
24 24
팀원이 주작이라고 생각 할 수 있을만 한 양의 다이아몬드를 들고 있었다거나, 죽었는데 바로 팀원에게 이동한다거나[* 이때 채팅창에 저희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습니다 ㅋㅋ 등등의 채팅이 여러개 올라오고 있었다.] 등 이상한 편집점이 있었다.
25 25
중요한 것은 '''사전에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26 26
27 27
=== 디스코드 무고 차단 ===
28 28
논란에 대해 발언한 유저는, 무차별적으로 차단을 때리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래도 친절하게 다가가는 유저가, 표절에 대한 해명을 부탁하자, "유행인줄 알았다"라고 말하였는데, 지금은 디스코드 봇의 삭제 기능으로 몽땅 삭제된 상태이다.--이정도면 봇이 아니라 검열관인데...--
29 29
30 30
=== [[잼민이|저연령층 시청자/극성팬 문제]] ===
31 31
거의 모든 마인크래프트 유튜버들의 문제이지만, 팽구의 문제는 위의 논란들과 섞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반달|문서 훼손]]이라거나, [[편법|다중 계정]]으로 토론을 열고 참여한다든가, 팽구의 주장에 대해서 무조건 [[실드|방어]]한다던가, 이 외에도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해 일부 시청자들은 이렇게 계속 시청자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안티팬들이 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비단 팽구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 저연령층 시청자들이 목적인 유튜버가 잘못을 하면 그 영상으로 몰려가 쉴드를 치고 내로남불과 오류들을 번복해가며 무리하게 쉴드를 치는 것이 지금까지 한두 번 반복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32 32
33 33
=== 해명 ===
34 34
첫번째 영상 해명은 논란의 주장하는 사람들을 [[잼민이|저연령층 시청자]]라고 비유하며, 제대로 해명하지 않았다.
35 35
두번째의 해명은, 진지하게 커뮤니티 게시글로 올라왔다. 사태의 심각성을 알아차리고 빠르게 뒷수습을 한 것으로 보인다.
36 36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88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 37
{{{#!wiki style="text-align: left"
38 38
안녕하세요 팽구입니다
39 39
이번 논란에 관련하여
40 40
ZiOOO님, 사건OOOOO님과 이번 논란에 대해 대화를 통해
41 41
이번 논란에 관하여 자세한 해명을 하였고
42 42
간단한 글을 쓴 후 논란을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43 43
44 44
45 45
1. 표절논란
46 46
47 47
- 조합법 썸네일
48 48
조합법 썸네일은 minecraft crafting 이라고 검색을 하게 되면
49 49
많은 유튜버분들이 조합대에 물건을 만드는 썸네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50 50
조합법을 사용한 썸네일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51 51
52 52
- OO로 마크 깨는 법 썸네일
53 53
처음 올렸던 물고기 영상은 kayZeee님의 영상을 시청하고 참고하여
54 54
썸네일을 제작한 것이 맞으며 그 외의 영상인
55 55
블레이즈, 위더 등의 영상은 처음 만들었던 썸네일의 구도대로 만든 썸네일 입니다
56 56
57 57
- 마인크래프트 1.16.5 10가지 버그들
58 58
위의 영상에 나온 버그들 10개중 7가지의 버그가 어떤 한 외국 유튜버와 일치한다고 하였는데
59 59
해당 버그는 외국 유튜버분이 찾은 버그도 아니며 마인크래프트의 버그들을 찾던 과정에
60 60
우연히 겹치게 되었으며 해당 외국 유튜버의 영상을 보고 똑같이 만들려던 점은 아니였습니다
61 61
62 62
또한 썸네일은 편집자와 통화를 하면서 만든 썸네일로
63 63
다이아몬드나 네더라이트 같은 구하기 힘들고 쓸 곳이 많은 아이템이
64 64
복사가 된다면 어그로가 더 끌릴 것 같아서 다이아몬드와 네더라이트를 사용하였습니다
65 65
66 66
67 67
2. 주작 논란
68 68
- 물고기로 마크 깨는 법 3분 15초 야간투시 이펙트
69 69
해당 장면의 야간투시 이펙트는 감마를 올리려던 예정이었으나
70 70
감마를 올리려면 마크를 종료해야하고 서버를 다시 열어야하는 버거움이 있어
71 71
야간투시를 사용 하였습니다
72 72
73 73
- 바퀴벌레로 마크 깨는 법 엔드에서 도전과제 안 뜸
74 74
확실하진 않지만 로딩 부분에서 컷편집이 있었거나
75 75
마인크래프트의 버그로 인해 안 뜬 것으로 추측하고있습니다
76 76
77 77
- 피 최대치 늘어나는 버그
78 78
피의 최대치가 줄어든 영상에서 피의 최대치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79 79
이것은 치트를 사용한 것이 아닌 identity의 버그입니다
80 80
81 81
82 82
3. [[디스코드]] 서버 무고밴
83 83
디스코드에서 이번 논란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고
84 84
제가 디스코드에서 한번의 해명 이후 같은 내용을 다시 언급하는 사람들에게는
85 85
밴을 하겠다 라는 말을 하고 내용을 다시 이야기하는 사람들에 대해 밴을 하게 되었으며
86 86
이때 밴을 당하신 분들에게 자세한 설명이 없어
87 87
"논란 얘기를 하면 밴을 당한다" 라며 무고밴 이야기가 나왔고
88 88
이에관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한점에 대해 죄송합니다
89 89
90 90
91 91
4. 이번 "죄송합니다(?)" 영상
92 92
개념없이 해명해달라는 시청자분들에게 스트레스를 받아
93 93
[[잼민이|비속어]]를 사용하여 영상을 시청하신 분들을 불쾌하게 하였습니다
94 94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생각이 짧았으며 죄송합니다
95 95
96 96
97 97
5. 증거인멸
98 98
위 내용처럼 사실이 아닌 내용을 나무 위키에 사실인 것처럼 적어놓았기 때문에
99 99
글을 삭제했던 것이었고 이 부분에서 자세한 설명 없이 삭제한 점 죄송합니다
100 100
101 101
102 102
6. 얼공관련
103 103
얼공 논란에 관해서는 약 1년전쯤에 자세한 이야기를 하였으며
104 104
마무리가 된 사건이고 혹시 이에 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 분들은
105 105
커뮤니티에 자세한 내용이 적혀있으므로 커뮤니티를 확인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06 106
이번 사건에 대해 불쾌감을 느낀 분들과 걱정하신 시청자분들에게 죄송하며
107 107
108 108
ZiOOO님, 사건OOOOO님과 대화를 하여
109 109
모드 및 데이터팩을 사용하여 만든 영상에는 ~한 사람이 제작을 하였다 등의
110 110
출처를 앞으로 올라가는 영상들의 표시 하도록 하였습니다
111 111
또한 이번 사건과 관련된 영상은 내리기로 하였으며 나무위키의 논란도
112 112
"어떤 일이 있었고 지금은 풀린 상태다"라고만 남겨놓기로 하였습니다
113 113
114 114
ZiOOO님, 사건OOOOO님이 물어보신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하였고
115 115
모든 내용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116 116
여기에 적혀있지 않은 내용이 있다 해도 이분들이 모두 이해하셨으니
117 117
제발 "팽구님 이거는요??" "이거는 대답 안 해주셨는데요?" 같은 질문은 하지말아주세요
118 118
119 119
120 120
다시한번 이번 사건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거나 걱정하신 시청자 분들에게 죄송합니다
121 121
\--이번 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계속 언급할 경우 경고없이 제재당할 수 있습니다\--}}}}}} ||
122 122
|| [[https://www.youtube.com/channel/UChsktFhbirKZUbXqyHvclwg/community?lb=Ugze3oZGO0zBLYfsi3h4AaABCQ|공식 사과문]] ||
123 123
마지막 '이번 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계속 언급할 경우 경고없이 제재당할 수 있습니다.'가 눈에 뜨인다. 이 해명으로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풀린 듯 하다. 다만 반론하는 사람들도 있다.
124 124
125 125
==== 반론 ====
126 126
1. 한국 유튜버들 영상 표절만을 다룸.
127 127
본 표절 논란은 해외 유튜버들을 주로 다룬 것이라, 이 해명에 대해서 호불호가 갈린다.
128 128
2. 주작 논란에 대해서 초반에 밝히지 않음
129 129
발생 전에 밝혔다면 주작이라고 볼 수 없지만, 밝히지 않았기에 주작이라는 해석을 할 수 있다.
130 130
131 131
==== 의견 ====
132 132
공식 사과문 아래의 '''[[4과문#s-6|이번 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계속 언급할 경우 경고없이 제제당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이 불편을 산다는 의견, 여론을 잠잠하게 하기 위해 한 해명이라는 등의 의견이 있다.
133 133
134 134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팽구penggu ,version=68)]
135 135
[[분류:인물별 비판]][[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사건 사고]][[분류:대한민국의 인물별 논란]]
... ...